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2] Tempora_Perfekt: 과거형
    Deutsch/A2 2025. 2. 11. 07: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Kirschzauber (체리의 마법)입니다!

     

    오늘 배울 내용은 'Perfekt' 입니다.

     

    독일어에는 신기하게도 과거형에 2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종류에는 Perfekt와 Präteritum이 있고 오늘 배울 내용은 Perfekt입니다.


     

    • Perfekt vs Präteritum

    Perfekt와 Präteritum의 공통점은 둘다 과거형을 나타낸다는 점입니다. 차이점은 Perfekt의 경우, 일상 대화에서 쓰는 과거형이라면, Präteritum의 경우는 공식적인 문서 (예를 들어 보고서) 에 사용되는 과거형태입니다.

     

     

    • Perfekt 형태: haben/sein + Partizip Perfekt

    Perfekt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haben + Partizip Perfekt 혹은 sein + Partizip Perfekt 를 갖습니다. 이때, Partizip Perfekt는 과거분사를 이야기합니다. 대부분의 동사의 경우 haben + Partizip Perfekt의 형태를 따르고,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동사들은 sein + Partizip Perfekt 형태를 따릅니다. 특정 장소로 '도착'하거나 '비행기를 타고 가'거나 혹은 특정장소에서 '출발'할 때 1번 조건을 충족하게 됩니다. 깨어있다가 '잠이 들'거나 A라는 상태에서 'B라는 상태로 되'는 경우, 가만히 있다가 '일어서는' 경우 등이 2번 조건에 해당합니다. 마지막으로 'bleiben', 'sein'동사는 무조건 2번째 형태를 따르게 됩니다.

     

    1. 이동과 관련한 뜻을 가진 동사 (z.B. gehen, fliegen usw.)
    2.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 (z.B. einschlafen, werden, aufstehen usw.)
    3. bleiben, sein

     

    예시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haben + Partizip Perfekt
    Ich habe gestern einen Brief geschrieben.
    Sie hat den Film schon gesehen.
    Wir haben uns über das Thema unterhalten.
    sein + Partizip Perfekt
    Er ist nach Deutschland gereist. (여행하다: 이동)
    Wir sind früh nach Hause gegangen. (가다: 이동)
    Das Kind ist schnell gewachsen. (자라다: 상태변화)

     

     

    • Partizip Perfekt의 문장내 위치와 형태

    위의 예시에서 문장의 맨 뒤에 위치한게 Partizip Perfekt입니다.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독일어에서는 동사를 구성하는 단어들 중 하나가 Position2에 위치하게 되면 나머지 구성 단어들은 문장의 맨 뒤로 보내지게 됩니다. Perfekt 시제의 문장에서는 haben 혹은 sein 동사가 Position2에 위치하게 되고 과거분사에 해당하는 Partizip Perfekt가 문장의 맨 뒤로 가게 됩니다.

     

    A1에서 현재시제의 동사변화에 대해서 배우셨지만, 아직 과거분사에 대해서는 접해보시지 않으셨기 때문에 Partizip Perfekt의 형태에 혼란스러우셨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형태가 여러 종류로 나뉘지만 (독일어 입문자분들은 이미 눈치채셨을 수도 있으시겠지만,) 다른 독일어문법에서와 같이 규칙과 불규칙 그리고 불규칙 안에서의 규칙, 혼합형 등으로 종류가 나뉘고 나름 틀안에서 규칙적인 형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익숙해지신다면 큰 어려움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추천드리는 방식은 종류에 따른 형태를 암기하려고 하시기 보다는 최대한 많은 독일어 문장을 만나면서 하나씩 체득해나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렇게 꾸준히 하시다보면 느낌가는 대로 맞추다보면 그게 바로 정답일 확률이 높은 그 날이 오실 겁니다:)

     

    한가지 기억해두실 유일한 사항은 일반적으로 어간 앞에 'ge-'가 붙고 어미부분에 '-t' 혹은 '-en'이 붙습니다. 어간이 규칙적이면 어미부분에 '-t'가 붙고 어간이 불규칙적이면 어미부분에 '-en'이 붙습니다. 예를들어 fahren이라는 동사가 있다면 ge+fahr+en = gefahren 이렇게 됩니다. fahren의 경우 어간이 불규칙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en'이 붙습니다. 분리동사의 경우 분리전철과 동사의 어간 사이에 'ge-'가 삽입되고 어미부분에 '-t' 혹은 '-en'가 붙는 것은 동일합니다. 비분리동사와 일부동사(예를들어 -ieren으로 끝나는 동사) 형태의 경우 어간 앞에 'ge-'가 붙지 않습니다. 또한, 동사의 뼈대가 되는 어간부분은 동사에 따라 규칙적으로 혹은 불규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독일어 문장을 최대한 많이 접해보면서 직접 규칙과 불규칙 속 규칙에 익숙해지면서 새로운 동사를 만나더라도 어느정도 예측가능한 상태에 이르는 것이 좋기 때문에 스트레스 받아가면 규칙을 정리하고 분석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규칙을 기억하면서 변형형태에 하나씩 가지치기를 한다고 생각하시고 배워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Mischverben의 경우 말 그대로 혼합동사로 어간이 불규칙 변화를 하는데 어미가 '-en'이 아닌 '-t'인 경우입니다.

    regelmäßige Verben
    (-t)

    ge
    kauf
    t
    hat gekauft, hat gemacht, hat gefragt, usw.
    auf
    ge
    mach
    t
    hat aufgemacht, hat zugemacht, hat eingekauft, usw.

    be
    zahl
    t
    hat verkauft, hat erzählt, hat zerstört, usw.


    studier
    t*
    hat telefoniert, hat repariert, hat akzeptiert, hat informiert, usw.
    unregelmäßige Verben
    (-en)

    ge
    gang
    en
    ist gefahren, hat genommen, hat gegessen, usw.
    ab
    ge
    fahr
    en
    hat weggeworfen, ist angekommen, hat angefangen, hat angeboten, usw.


    verglich
    en
    hat versprochen, hat entschieden, hat empfohlen, usw.
    Mischverben

    ge
    dach
    t
    hat gekannt, hat gebracht, hat gewusst, hat genannt, usw.

    *Alle Verben auf „-ieren“ bilden das Partizip Perfekt ohne „ge-“ und mit „-t“ am Ende!

     

    Perfekt에 대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독일어 말 중에 Übung macht den Meister. 라는 말이 있습니다.

    오늘 학습하신 내용을 포함해서 독일어를 최대한 많이 읽고 입으로 뱉어보고 배운 내용을 적용해서 말하고 쓰려고 한다면 여러분도 분명히 독일어로 자신의 의견을 쉽게 이야기할 수 있는 날이 올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저희는 다음시간에 만나요!

     

    Tschüss!

     

    ※현 블로그에 올라오는 모든 자료는 Kirschzauber가 작성한 것으로 무단 도용 및 복제가 금지됨을 알려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