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2] Tempora_Präteritum: 과거형
    Deutsch/A2 2025. 2. 14. 07: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Kirschzauber (체리의 마법)입니다!

     

    오늘 학습할 내용은 Präteritum입니다.

     

    Präteritum은 지난시간에 배운 Perfekt와 같은 과거형이지만,

    형태와 쓰임이 다릅니다.

     

    함께 살펴볼까요?


    • Perfekt vs Präteritum

    지난 시간에도 말씀드린 것처럼 Perfekt는 보통 일상에서 사용하며, Präteritum은 공식적인 문서에 등장하는 과거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Präteritum의 쓰임
      • 공식적인 문서 혹은 소설과 같은 문학작품
      • 역사적 사실과 같은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이야기
      • Modalverben (조동사)
      • sein, haben 동사

     

    독일어를 학습하시면서 대부분의 경우 Präteritum 보다는 Perfekt를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조동사인 Modalverben과 기본 동사인 sein과 haben 동사의 경우에는 Präteritum 형태를 사용해주기 때문에 이 점 유의해서 학습하시면 좋겠습니다. sein 동사와 haben 동사가 Präteritum의 형식으로 쓰이는 이유는 Perfekt의 형식에 대해 배우시면서 눈치 채셨을지도 모르겠지만, Perfekt에서 sein과 haben이 사용되기 때문에 본동사가 sein 혹은 haben일 경우 굳이 이를 Perfekt 형태로 표현할 수 있지만 복잡하고 이중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Präteritum을 사용하게 됩니다.

     

    단순히 Perfekt는 평소에 사용하고 Präteritum은 공식적인 문서 등에 사용하며, 조동사와 sein, haben 동사는 일반적으로 Präteritum으로 과거형을 표현한다라고 기억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조동사의 과거형, haben, sein 동사의 Präteritum 형태는 다음시간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Präteritum 형식

    Präteritum의 경우 Perfekt처럼 다른 보조동사가 추가되는 건 아니고 본동사에서 형태를 변화시키게 됩니다. 이 형태는 보통 규칙과 불규칙에 따라 구분지어 집니다. 하지만 항상 말씀드리는 것처럼 독일어는 불규칙 속 규칙이 언제나 함께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다른 문법과 마찬가지로 많은 동사를 접하며 이의 각각의 과거형태를 살펴보시면 금방 불규칙 속 규칙을 캐치하실 수 있게 되실겁니다. 그래서 나중에는 새로운 동사를 만나도 느낌대로 찍고 사전을 통해서 정답을 확인해 보면 90%는 정답일겁니다:)

     

      • regelmäßige Verben: 규칙동사

    일반적으로 Stamm에 해당하는 어간뒤에 '-t-'가 삽입되고 그 뒤에는 일반적인 동사의 주어에 따른 어미변화 형태를 따르게 됩니다. 또한, 어간의 마지막 알파벳이 't' 혹은 'd'로 끝나게 되면 발음상 중복이 되기 때문에 이를방지하고자 '-et-'를 삽입하고 그 뒤에 일반적인 동사의 주어에 따른 어미변화 형태를 따르게 됩니다. 예를들어 '일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사 arbeiten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변화하게 됩니다.

    arbeiten-arbeiteten

     

    어간 뒤에 첨가된 't'

    발음상의 이유로 첨가된 'e'

    일반적인 동사의 어미변화


    backen
    Endung
    ich
    backte
    -te
    du
    backtest
    -test
    er/sie/es
    backtet
    -tet
    wir
    backten
    -ten
    ihr
    backtet
    -tet
    sie/Sie
    backten
    -ten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알파벳 t가 자음이다보니, 어미변화에서 일반동사에서의 불규칙 변화에서처럼 발음상의 이유로 첨가된 't' 뒤로 '-e-'가 추가적으로 삽입됩니다. 쉽게 생각해보시면 일반동사의 현재시제 동사변화에서 어간뒤에 't'만 추가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unregelmäßige Verben: 불규칙동사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동사의 경우 가장 큰 특징은 '어간의 형태가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보통은 강세가 있는 모음 부분이 다른 모음으로 대체되며 위에서 배운 규칙동사처럼 어간뒤에 알파벳 't'가 첨가되지 않습니다. 동사 어미변화의 경우 현재시제의 어미변화와 동일하게 진행되되, 조동사의 변화형태처럼 ich와 er,sie,es는 따로 Endung이 붙지 않으며 이 4개의 주어에 따른 동사의 형태는 동일하게 됩니다. 또한, 어간의 마지막 알파벳이 't' 또는 'd'인 경우에는 발음 상의 이유로 'e'가 어간 뒤에 붙게 됩니다. 한가지 추가적으로 덧붙이자면, 일반적으로 어간의 강세가 있는 모음에서만 변화가 일어나지만 간혹 자음에서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gehen-ging, fressen-fraß, schneiden-schnitt) 등이 있습니다.

    어간의 모음변화는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최대한 많이 접해보고 불규칙 속 규칙을 스스로 깨우치는게 가장 빠르고 편한길이라고 생각합니다. gehen과 ging처럼 형태가 거의 완전히 바뀌는 경우는 별로 없지만 만나게 되면 그때그때 암기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어간의 형태변화 - 강세가 있는 모음 부분이 다른 모음으로 대체됨 (간혹 자음변화 있을때도 있음)
    2. 알파벳 t 첨가X
    3. 일반적인 동사 어미변화를 따름
    4. 단, ich=er/sie/es는 Endung이 없으며 형태가 동일
    5. 어간의 마지막 알파벳이 t 또는 d일 경우엔 e 첨가됨 (예시 아래 표의 동사 bieten)

    bieten
    Endung
    ich
    bot
    -
    du
    botest
    -st
    er/sie/es
    bot
    -
    wir
    boten
    -en
    ihr
    botet
    -t
    sie/Sie
    boten
    -en

     

    오늘 학습은 여기까지입니다.


    공부하시다가 이해되지 않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편하게 댓글 남겨주세요!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저희는 다음시간에 뵐게요!

     

    Tschüss!

     

     

    ※현 블로그에 올라오는 모든 자료는 Kirschzauber가 작성한 것으로 무단 도용 및 복제가 금지됨을 알려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