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본] A, B, C
    Deutsch/기본 2024. 10. 1. 21:1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Kirschzauber (체리의 마법)입니다!

     

    출처: pixabay

    이제 본격적으로 독일어에 대해 배우기 시작할 텐데요.

    모든 언어의 가장 기본이 되는 das Alphabet 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독일어 알파벳의 특징
      • 총 26자 + 4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영어의 알파벳과 비슷하지만, 발음 차이가 있거나 4개의 문자가 추가적으로 있습니다.
      • A, O, U의 모음에 각각 위에 점 2개가 찍힌 형태의 der Umlaut 들 (Ä, Ö, Ü) 이 있습니다.
      • 발음 시, 자음에는 대체로 -e를 붙여서 발음합니다. (-i를 붙여서 발음하는 영어와 차이가 있습니다.)

    • Deutsches Alphabet

    *A wie Apfel처럼 '알파벳 wie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단어'로 발음하면서 연습하시면 좋습니다.

    *각 알파벳의 설명을 보시고 포인트에 유의하시면서 직접 음성과 함께 연습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독일어 발음 시 한국어로 발음을 표현하는 것을 굉장히 지양하는데요.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번 편에서는 한국어 발음도 같이 표기했음을 알려드립니다.

    Aa
    Bb
    Cc
    Dd
    Ee
    Ff
    Gg
    Hh
    Ii
    Jj
    Kk
    Ll
    Mm
    Nn
    Oo
    Pp
    Qq
    Rr
    Ss
    Tt
    Uu
    Vv
    Ww
    Xx
    Yy
    Zz
    ß
    Ää
    Öö
    Üü
      • Aa [aa]: 입을 동그랗게 벌리고 길게 '아~'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Bb [be]: 발음 시 -e가 붙는 경우 입을 양쪽으로 찢어서 '뺴~' 소리가 나게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Cc [ce]: 'B'와 동일하게 발음 시 e를 붙여서 발음하기 때문에 양쪽 입을 길게 찢어서 '체~' 소리가 나게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이때 독일어 'C'는 독일어 'Z'와 동일하게 발음해 주시면 되는데, 'ㅊ'이나 'ㅉ' 소리가 아닌 그 사이 소리로 아래 이빨과 위 이빨이 맞닿았을 때 그 사이로 나는 '츠' 소리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Dd [de]: 'B', 'C'와 동일하게 양쪽 입을 길게 벌려서 '데~' 소리가 나게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Ee [ee]: 앞의 'B', 'C', 'D'에서 배운 'E' 발음에 맞춰서 입을 길게 찢고 '에~'로 길게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Ff [ef]: 입을 길게 찢어서 '에프'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Gg [ge]: 'E'발음에 유의해서 '게에~'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Hh [ha]: 'h'에 강세를 줘서 '하'라고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Ii [ii]: 많이들 발음할 때 혼돈하시는데 'I'와 'E'인데 독일어에서는 알파벳이 실제 발음될 때의 발음 그대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따라서, 'I'는 '이~', 'E'는 '에~'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Jj [Jot]: 'J'는 영어 'J [제이]' 발음과 달리 '요트'라고 읽습니다. 한글에서 반모음이 결합된 이중모음인 'ㅑ, ㅕ, ㅛ, ㅠ, ㅒ, ㅖ, ㅢ'처럼 'J' 뒤에 함께 오는 모음에 따라 발음이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der Jogurt와 같이 J와 O가 만나게 되면 기존 O [오] 발음에서 [요] 발음으로 바뀌게 됩니다. 또 다른 예시로는 das Jahr 같은 경우, 모음 A[아] 발음과 결합 시 이의 이중 모임인 [야]로 발음하게 됩니다.
      • Kk [ka]: 'K' 같은 경우, 다른 자음들과 달리 'A'와 결합하여 발음하게 됩니다. '카~'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Ll [el]: 'L' 같은 경우, 알파벳의 앞에 'E'를 붙여서 '엘'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Mm [em]: 'L'과 동일하게 알파벳의 앞에 'E'를 붙여서 '엠'으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Nn [en]: 앞의 'L', 'M'과 마찬가지로, 앞에 'E'를 붙여서 '엔'으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Oo [oo]: 'A', 'E', 'I' 모음에서 눈치채셨겠지만 모음의 경우 해당 발음을 장음 처리해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따라서 'O'같은 경우, '오~'라고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Pp [pe]: 'B', 'C', 'D'와 동일하게 'P' 뒤에 'E'를 붙여서 '페~'라고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Qq [ku]: 'Q'는 [쿠]라고 발음합니다. 실제 단어에서는 'Q'와 'U'가 결합된 형태인 'Qu'로 많이 사용되는데, 발음은 [kw]로 발음됩니다. 예시로, die Qualität의 경우 [kw] 발음이 적용돼서 [크발리턔트]로 발음됩니다. 알파벳 'W'의 경우, 뒤에서 다루겠지만 영어 더블유와는 다르게 영어 알파벳 'V'와 동일하게 발음됩니다.
      • Rr [err]: 독일어 발음에서 뒤에서 다룰 der Umlaut 시리즈들과 함께 대체로 발음하기 어색하고 힘들어하시는 발음인 'R [에르]'가 있습니다. 'R'과 함께 der Umlaut 시리즈들은 따로 발음에 대해서 다루겠지만 지금은 가글 하듯 목을 굴려서 진동에 의해 소리가 나는 알파벳이라고 기억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에서 진동에 의해 나는 소리이기 때문에 발음하는 사람에 따라 'ㄱ', 'ㄹ', 'ㅎ'과 같은 발음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 Ss [es]: 알파벳 자체는 [에스]로 발음해 주시면 되고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발음됩니다. Das Sauerkraut와 같이 단어의 앞에 위치할 경우 [즈] 발음으로 발음되고 jemandes와 같이 단어의 맨 뒤에 올 경우 [에스]로 발음됩니다.
      • Tt [te]: 알파벳 'T' 뒤에 'E'를 붙여서 [테]라고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Uu [uu]: '우~'로 장음 처리해서 읽어주시면 되고 알파벳 'O'와 'U'는 얼핏 보면 구분이 잘 되어 보이지만 발음 시 [오]와 [우]가 비슷하게 발음되시는 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발음 연습 시 녹음기를 켠 후 한번 'O'와 'U' 각각 발음해 보시고 각 알파벳이 들어가는 단어를 한 번씩 발음해 보신 후 녹음 종료 버튼을 누르시고 'O'와 'U' 사이에 발음 차이가 명확히 있는지 들어보시고 한번 체크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Vv [vau]: 독일어 알파벳과 영어 알파벳의 차이점이 바로 'V'인데요. [바우]가 아닌 [fㅏ우]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Ww [we]: 이 알파벳은 [vㅔ]([베]) 라고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 Xx [ix]: 이 알파벳은 [iks] 혹은 [익스]로 발음해 주시면 됩니다. 예시로, das Xylophon 같은 경우에 [크실로폰]과 같이 알파벳 'X'는 실제 [ks]로 발음됩니다.
      • Yy [Üpsilon]: 움라우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드리겠지만 A, O, U 이 세 알파벳 위에 각각 두 개의 점이 찍힌 형태의 알파벳을 움라우트라고 부릅니다. 알파벳 'Y'의 발음은 [Üㅂ실론]으로 한국어 발음으로 표기하자면 [윕실론]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편의를 위해 제가 한국어로 표현해 드린 것이지 [Ü] 발음과 한국어 [위] 발음은 서로 다른 발음입니다. 예시로 영어에서 [시스템]으로 발음되는 das System은 독일어에서 [쥐스템]과 같이 [Ü]으로 발음됩니다.
      • Zz [Zett]: 알파벳 'C'와 동일한 발음으로 위이와 아랫니를 다물었을 때 그 사이로 나는 [ㅊ]와 [ㅉ] 사이의 발음이 납니다.
      • ß(ss) [Eszett]: [에스제트]라고 불리는 이 알파벳은 [스] 발음이 납니다. 자판에 이 알파벳이 없는 경우 'ss'로 대체해서 쓰기도 하며, 여러 언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는 스위스 같은 경우 각 언어의 추가적인 알파벳 형태를 모두 자판에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알파벳 'ß'을 사용하지 않고 'ss' 형태로 기입합니다.
      • Ää [A Umlaut]: [아 움라우트]라고 읽습니다. Der Umlaut에서 접두사 'um-'은 대체로 '바뀌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Der Laut는 '소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알파벳 'A'에서 입모양은 [아]로 그대로 가되, 소리가 [애]로 바꾸어 발음한다고 해서 '바꾼 소리'라는 의미를 가진 [아 움라우트]라고 부릅니다.
      • Öö [O Umlaut]: [오 움라우트]라고 읽습니다. 입모양을 [오]로 고정해둔 채 [이] 소리를 내게 되면 한국어 [외]와 비슷한 소리인 알파벳'Ö' 소리가 나옵니다.
      • Üü [U Umlaut]: [우 움라우트]라고 읽습니다. 입모양을 [우]로 고정해둔 채 [이] 소리를 내게 되면 한국어 [위]와 비슷한 소리인 알파벳'Ü'소리가 나옵니다.

    * 노란색 형광펜으로 하이라이트 되어있는 독일어 단어들을 그때그때 자신만의 독일어 단어장에 기록해놓고 수시로 보면서 성+단어를 함께 외우시면 좋습니다:) (독일어에서의 단어 성별을 나중에 추후 콘텐츠를 통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독일어를 공부할 때 단순히 문자만으로 공부하는 것보다 시간이 조금 소요되더라도 음성을 함께 들으면서 공부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각 알파벳의 발음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독일어 알파벳 30자를 모두 하나하나 설명해 드리다 보니 전체 설명이 굉장히 길어졌습니다.

    독일의 철학자이자 시인인 괴테의 명언 중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마지막 단추는 낄 구멍이 없어진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일에 있어서 계획 세우기도 중요하지만, 우선 올바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있는 만큼 '시작'은 모든 일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을 여는 첫 문이지만 이 '첫 문'을 어떻게 여느냐가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듯이 급하더라도 조급해하지 않고 저와 함께 올바르게, 올바른 순서로 독일어를 배워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 발음 편에서 만나요:)

    Tschüss!

    ※현 블로그에 올라오는 모든 자료는 Kirschzauber가 작성한 것으로 무단 도용 및 복제가 금지됨을 알려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